유형 | 내용 | 금액 |
---|---|---|
도정참여형 |
- 도 관할 사업 - 도가 역점사업으로 추진해야 할 사업 - 도 전역에 파급효과가 미치는 사업 - 2개 이상 시군에 걸치는 사업 |
300억원 |
지역지원형 |
- 지역문제 해결을 위해 도의 지원이 필요한 사업 - 타 시·군 선도 시범성 사업 - 도, 시군 연계협력이 필요한 사업 * 시군 주민참여예산위원회 심의를 거침 |
90억원 |
민관협치형(일반) |
- 소통·협치를 바탕으로 도민과 함께 혁신 성장을 이루기 위한 道 정책 제안 사업 * (참여대상) 경기도 소재 비영리 민간단체, 위원회, 협치기구, 주민자치회 등 |
80억원 |
민관협치형(청년) |
- 도 전역에 파급효과를 미치는 지역사회 청년문제에 대해 숙의과정을 통해 해결가능한 정책제안 사업 * (참여대상) 경기도 청년참여기구 |
30억원 |
▶ 예산 全 과정(편성,집행,결산)에 대한 주민참여 확대
- 주민제안사업 집행점검 모니터링 실시
- 도민감시단 활성화 위해 주민참여예산위원 겸임 추진
▶ 제안서 작성 방법 제시 필요
- 세부 내용이 부족하거나 중복된 내용의 제안서 접수 多
▶ 집행점검 모니터링 일반 정책사업까지 확대하여 집행 책임성 강화
- 사업부서 자체점검+위원회 점검 모니터링(현장확인 포함)
- 예산낭비요인 확인 등 감시 기능 강화
▶ 제안서 작성 편리성 및 접근성 제고
- 제안서 작성에 대한 지원 체계 강화하여 제안 활성화 도모
▶ 당해연도 공모 절차 마감 후 탈락한 제안 사장됨
▶ 제안 건 증가 및 주민참여예산위원 확대에 따라 제안 적합성 검토 시간 부족
▶ 예산 편성 후 집행‧결산 관리 및 지속가능한 정책으로 추진 필요
▶ 제안자 인센티브 지급
- 추첨 인센티브(100명, 1만원)
- 선정 제안 시상금 지급(10만원)
- 우수제안자 도지사 표창(5점)
▶ 제안 전반에 대해 분석‧평가 실시
- 탈락한 제안 재검토‧컨설팅하여 선정 가능성 제고
▶ 숙의과정 강화하여 제안 선정률 제고
- 원탁회의 분과별 2회 개최로 충분한 논의시간 확보
- 관련 부서의 철저한 검토로 선정불가 사업 사전 선별
▶ 주민참여예산 사업 DB 구축 및 사례 관리
- 유사‧중복 주민참여예산 제안 방지
- 집행‧결산 우수사례 선정하여 참여예산제도 홍보 콘텐츠로 활용
▶ 담당부서 인센티브 신설
- 신규 사업 수용성 강화로 선정 확대
- 주민제안사업의 실시계획을 수립ㆍ시행하는 담당부서에 보상 추진
※ 제안자 인센티브 지속 추진
▶ 지역지원형 활성화를 위해 시·군과 네트워크 필요
▶ 예산 전 과정으로 주민 참여 확대되며 참여자의 전문성 강화 필요
▶ 도-시군 유기적 협력체계 강화
- 도-시군 위원회 간 연계 네트워크 구축 및 역량강화 워크숍 개최
- 지역사회 협력 강화하여 필요성 높은 제안 발굴
▶ 교육 수요자별 맞춤형 교육으로 참여자 역량 증진 및 관심도 제고
- 위원회 활동 시 필요한 능력 배양
- 사회적 약자 참여 보장 위해 각 대상별 맞춤 교육과정 개발‧운영